철학3 존재가 갖는 풍요로움 괴테의 시에서 쓰이고 있는 이 '있다(ist)'라는 단어가 갖는 이러한 단순함은 공허하고 막연해서 더 이상 파악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기서는 희귀한 풍요로움을 간직한 단순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니체2' p.226 이래서 철학책은 읽을 가치가 있다. 위의 복잡하고 아리송한 말을 가지고 99%의 사람들은 뭐 그렇게 복잡하게 생각하느냐고 따질지 모른다. 그러니까 예술의 가치도 실용적인 생각에서 사치적인 것의 하나로 치부하고 치워버리는 것이라고 본다. '있다'라는 두 글자 동사에 대해 하이데거는 그 어느 것보다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면서도 너무나 쉽게 인식의 능력에 잡히지 않고 빠져나가고 있으며 마치 물처럼 산소처럼 우리 주변에서 우리를 휘감고 있는 무엇처럼 이야기한다. 그.. 2023. 6. 4. 우리에게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신은 죽었다'는 말은 그리스도교의 신이 무력해졌다는 것뿐 아니라, 인간이 복종해야만 하고 복종하고자 하는 '초감성적인 것'이 무력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무력화는 이제까지의 질서가 붕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의 '니체' 오랜 기간 하이데거가 쓴 '니체'를 포기하지 않고, 가끔은 즐거움으로, 또 가끔은 진지하게 읽고 있다. 하이데거의 '니체'는 총 두 권으로 이뤄졌다. 한 권당 500~600쪽에 달하는 방대한 책이다. 내용 자체가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이 융합돼 있어 차원 높은 기분을 준다. 그러다 보니 조금은 머리가 아플 수도 있지만, 니체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지적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 또한 분명하다. 나는 이 책을 아도르노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함께 읽었다. 아도르노의 책이 강연.. 2022. 3. 8. 아리스토텔레스 행복론 신은 순수한 사유이자 행복, 완전한 자기충족 상태로 실현되지 않은 목적이 하나도 없이 영원히 실존한다. 반대로 감각할 수 있는 세계는 불완전한데, 불완전한 종류의 생명과 욕망, 사유를 가져서 완전한 것을 열망한다. 모든 생물은 정도가 크든 작든 신을 의식하기에, 신을 찬미하고 사랑함으로써 움직이고 행동한다. 따라서 신은 모든 활동의 목적인이다. 러셀의 서양철학사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부분 중. p.239~240 어쩌다 유럽의 2000년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의 노예가 되어버린 것일까. 모든 것을 보이지 않는 무언에 끼워 맞추려고, 안 되는 것을 기어코 되게 하려 했던 두 사람으로 인해 지금도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병들고 고통스럽게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다. 플라톤이나 아.. 2021. 9. 13. 이전 1 다음